반응형
DirectX란?
GPU에게 일을 시키는 라이브러리
CPU가 있는데 GPU에게 외주를 주는 이유가 뭘까?
CPU 만으로는 연산량이 벅차서 외주를 주는 거
외주도 정해진 규격대로 던져야 하는데 그걸 학습하는 과정이다.
출처: https://learn.microsoft.com/ko-kr/windows/win32/direct3d11/overviews-direct3d-11-graphics-pipeline
화면에 어떤 그림이 그려지기 까지의 일련의 과정
언리얼, 유니티 엔진에서 다 해주는데 왜 공부해야 할까?
큰 규모의 게임 만들 때 렌더링 지식이 필요하다. 원리 알아야 응용 가능하기 떄문이다.
서버 프로그래밍을 하게 되더라도 3D세상 이해도 있냐, 없나는 큰 차이가 있다.
삼각형 띄우는 것, 벡터, 행렬부터 물방울책 까지 볼 것이다.
학습 계획
루키스님의 강의(https://inf.run/UD7p)를 들으며 공부한 내용들을 이 블로그에 정리할 것이다. 그리고, 3D Game Programming with DirectX11 책을 통해 기본 지식을 얻고 나서 이를 이용해 게임을 만들어 볼 것이다.
게임을 만들 때는 Game Programming in C++ 의 OpenGL부분을 DirectX11로 교체해서 만들면 될 거 같다.
일단 여기까지 하고 취업을 할 것이다.
일 하면서 DirectX12를 공부하고, DirectX11를 DirectX12로 교체해 볼 것이다.
반응형
'Direct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. 텍스쳐와 UV (0) | 2023.12.13 |
---|---|
4. 삼각형 띄우기 (0) | 2023.12.09 |
3. 장치 초기화 (0) | 2023.12.06 |
2. 기본 프레임워크 (0) | 2023.12.02 |
1. 렌더링 OT (0) | 2023.12.0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