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같은 기능을 만들 더라도 너무 느리게 만들면 안되겠죠?
같은 기능의 알고리즘이라도 어떤 알고리즘이 더 빠르고, 느린지 판단하기 위해서 구분할 수 있는 기호나 기준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.
그 때 필요한 것이 BIG-0 표기법입니다.
O는 Order Of라고 읽습니다.
대락적으로 연산의 개수가 몇개인지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.
규칙1. "영향력이 가장 큰 대표 항목만 남기고 삭제 한다" 입니다.
2. "상수를 무시한다."입니다. 예를 들어 2N은 N으로 표기합니다.
빅오 표기법에서 log가 나오는데 log는 무슨 의미 일까요?
이 그래프를 보면 O(logN)과 O(1)이 빠르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.
데이터의 크기가 작을 때는 O(N)을 쓸 수도 있습니다만 보통 알고리즘을 선택할 때 O(1)이나 O(longN) 속도의 알고리즘을 택하는게 좋습니다.
반응형
'Coding test > 자료구조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. 동적배열 구현 (0) | 2023.08.25 |
---|---|
1. 배열, 동적 배열, 연결 리스트 (0) | 2023.08.25 |
댓글